히포크라테스 News

환자 동생이 수술동의서 서명했는데…'설명의무 위반' 판결 관리자

환자 동생이 수술동의서 서명했는데…'설명의무 위반' 판결

서울고등법원, 1심 판결 뒤집고 "자기 결정권 침해 인정" 

'성인으로서 판단능력 있으면, 친족 승낙을 환자의 승낙으로 갈음할 수 없어…' 

 

  환자의 보호자가 수술동의서에 서명했어도, 환자 본인에게 받지 않았다면 '설명의무를 위반'해 환자의 자기 결정권을 침해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고등법원 제17민사부는 2018년 7월 19일 환자 가족의 손해배상소송을 기각한 1심을 뒤집고, 환자 본인에게 설명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며 위자료 1500만 원 지급을 선고했다. 

사건은 2009년 7월 21일 A씨가 B병원 정형외과를 내원하면서 시작됐다. 의료진은 당시 "치료법으로 일리자로프 연장술을 고려할 수 있다. 무릎 관절의 운동 범위 회복은 어렵다"고 설명한 후 재내원을 권유했다. 

A씨는 9월 22일 B병원을 다시 찾아, 대퇴골 연장 수술을 받기로 했다. 2010년 1월 25일 일리자로프 외고정기를 이용한 대퇴골 연장 수술을 받았다. 당시 A씨 대퇴 길이는 우측이 좌측보다 3.2㎝ 짧은 상태였고, 우측 무릎 관절의 운동 범위는 0∼90도로 제한돼 있었다. 

수술 후 A씨는 골수염이 재발했다. B병원은 항생제 치료를 시행했다. 골유합 미비 등을 이유로 2010년 9월 25일 외고정 장치를 제거한 후,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 및 뼈 이식 수술을 받았다.

이후 우측 무릎 관절의 강직이 발생, 2012년 2월 17일 관절경 및 일부 개방적 유착 박리 수술을 받았다. 유착박리수술 후에도 우측 무릎 관절의 운동 범위 제한이 개선되지 않아 같은 해 6월 8일 금속정 제거 및 대퇴사두근 성형 수술을 받았다.

A씨의 대퇴길이는 우측이 좌측보다 2.2㎝ 짧은 상태다. 수술로 우측 대퇴 길이가 1㎝ 연장됐다. 수술 후 우측 무릎 관절 운동 범위는 15∼60도로 수술 전에 비해 운동 범위가 50% 감소했다. 

  한편, A씨는 6세 때 우측 무릎을 다치는 사고를 당해 접골원에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 이후 다시 넘어져 우측 대퇴부 골절상을 입었다. 당시 치료 과정에서 골수염이 발생했다.

18세, 21세 되던 해에는 C병원에서 2차례에 걸쳐 절개 및 배농술을 받았다. 대퇴부 골절, 골수염 등의 후유증으로 우측 대퇴부 단축, 우측 무릎 관절의 운동 범위 제한, 요추 변형 등 후유증을 앓게 된 병력이 있다. 

A씨 측은 "B병원이 ▲환자의 나이를 고려해 수술 부위 감염으로 인한 골수염 재발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었음에도 수술을 시행한 잘못이 있으며 ▲감염 관리상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아 수술 부위에 봉와직염과 골수염을 발생시켰다"고 주장했다.

또한 ▲의료진이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부작용·합병증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성인으로서 판단능력을 갖고 있는 환자를 제쳐두고 동생에게만 수술에 관한 설명을 해 설명의무의 이행을 했다고 볼 수 없다"며 손해배상소송을 진행했다.

1심 법원과 서울고등법원은 모두 수술상의 과실이나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A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판단은 '설명의 의무' 위반 판결에서 갈렸다. 

 

[기사전문]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119r

 

면책공고

본 사이트의 내용은 본 법인의 소개를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므로,
여하한 조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법률자문을 거치시기 바랍니다.